맨위로가기

198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올스타팀 간의 경기로, 센트럴 리그는 고바 다케시 감독, 퍼시픽 리그는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이 지휘했다. 오 사다하루, 노무라 가쓰야 등 은퇴 선수들과 오치아이 히로미쓰, 하라 다쓰노리 등 새로운 선수들의 등장이 특징이었다.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승리, 2차전은 가케후 마사유키의 끝내기 홈런으로 센트럴 리그가 승리, 3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완봉승을 거두며 센트럴 리그가 2승 1패로 승리했다.

2. 경기 개요

전년도에 2년 연속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히로시마 도요 카프고바 다케시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그 히로시마와 2년 연속 일본 시리즈에서 맞대결을 펼쳤던 퍼시픽 리그 우승 팀인 긴테쓰 버펄로스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를 맡았다. 1968년 이래 7차례나 퍼시픽 올스타팀을 지휘했던 니시모토 감독은 그해 가을에 사의를 표명하면서 자신으로서는 마지막 올스타전이 됐다.

오랜 세월 양팀의 주력 타자로서 활약했던 오 사다하루(요미우리)와 노무라 가쓰야(세이부)가 전년도인 1980년을 끝으로 은퇴했고 하리모토 이사오(롯데), 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마쓰바라 마코토(요미우리) 등이 현역 생활에 있어서의 마지막 시즌을 보내는 가운데 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하라 다쓰노리(요미우리), 이시게 히로미치(세이부) 등 1980년대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두각을 드러낸 것도 1981년 올스타전의 특징이었다.

1차전과 2차전에서는 모두 양대 리그의 간사이 지방 쪽이 배팅으로 활약했는데 특히 2차전에서는 동점으로 맞이한 연장 10회에 타석에 들어선 센트럴 올스타팀의 가케후 마사유키(한신)가 끝내기 3점 홈런으로 센트럴 올스타팀이 승리하여 가케후가 1978년 이래 MVP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가케후는 공식전·일본 시리즈를 통해서 끝내기 홈런은 한 번도 없었기 때문에 자신으로서의 유일한 끝내기 홈런이 됐다. 3차전에서는 투타가 아니고 센트럴 올스타팀 야마쿠라 가즈히로(요미우리)의 활약이 돋보여서 투수진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퍼시픽 올스타팀에게 완봉승을 거뒀다. 퍼시픽 올스타팀의 완봉패는 1975년 1차전 이래 6년 만의 일이다.

3. 출장 선수

198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출장 선수는 다음과 같다.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감독선수명소속팀비고감독선수명소속팀비고
고바 다케시히로시마니시모토 유키오긴테쓰
코치다케가미 시로야쿠르트코치야마우치 가즈히로롯데
후지타 모토시요미우리오사와 게이지닛폰햄
센트럴 리그 상세 출장 선수 명단퍼시픽 리그 상세 출장 선수 명단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이다.[1][2]

3. 1. 센트럴 리그

[1]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3. 2. 퍼시픽 리그

다음은 198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에 출전한 퍼시픽 리그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선수명소속팀비고
감독니시모토 유키오긴테쓰
코치야마우치 가즈히로롯데
오사와 게이지닛폰햄
투수기다 이사무닛폰햄2회 출장
야나기다 유타카긴테쓰3회 출장
무라타 조지롯데9회 출장
에나쓰 유타카닛폰햄14회 출장
다카하시 가즈미닛폰햄6회 출장
마쓰누마 마사유키세이부첫 출장
모리 시게카즈세이부첫 출장
나가이 다모쓰세이부2회 출장
야마다 히사시한큐10회 출장
이마이 유타로한큐2회 출장
후지타 마나부난카이3회 출장
포수나시다 마사타카긴테쓰3회 출장
오미야 다쓰오닛폰햄첫 출장
오이시 도모요시세이부첫 출장
1루수가토 히데지한큐10회 출장
2루수야마자키 히로유키세이부10회 출장
3루수아리토 미치요롯데12회 출장
유격수이시게 히로미치세이부첫 출장
내야수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첫 출장
T. 솔레이터닛폰햄첫 출장
고노 다카유키난카이2회 출장
후지와라 미쓰루난카이5회 출장
외야수후쿠모토 유타카한큐11회 출장
시마다 마코토닛폰햄3회 출장
히라노 미쓰야스긴테쓰3회 출장
L. 리롯데4회 출장
쇼지 도모히사롯데첫 출장
가도타 히로미쓰난카이6회 출장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4. 경기 결과 상세

198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2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코바 타케시 감독이 올센트럴(올 센트럴 리그)을 이끌었고, 히로시마와 2년 연속 일본 시리즈를 다퉜던 긴테쓰 버펄로스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이 올퍼시픽(올 퍼시픽 리그)의 지휘를 맡았다. 니시모토 감독은 이 해를 마지막으로 올스타전 지휘를 내려놓았다.

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 · 노무라 가쓰야(세이부) 등 베테랑 선수들이 은퇴하고, 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 하라 다쓰노리(요미우리) · 이시게 히로노리(세이부) 등 새로운 세대의 선수들이 등장하면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

1차전과 2차전은 양 리그의 간사이 연고 팀들이 활약했다. 특히 2차전에서는 한신가케후 마사유키가 연장 10회에 끝내기 3점 홈런을 쳐 센트럴 리그가 승리했고, 카케후는 1978년 이후 다시 한번 MVP를 차지했다. 카케후는 공식전과 일본 시리즈를 통틀어 유일한 끝내기 홈런을 이 경기에서 기록했다.[1] 3차전에서는 요미우리야마쿠라 가즈히로가 투수진을 이끌며 퍼시픽 리그를 완봉승으로 이끌었다. 퍼시픽 리그의 완봉패는 1975년 1차전 이후 처음이었다.

2차전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합계안타실책
퍼시픽0002000010370
센트럴0000001023X670


  • '''승리 투수''': 스미 미쓰오(요미우리)[1]
  • '''패전 투수''': 야나기다 유타카(긴테쓰)[1]
  • '''홈런'''
  • '''퍼시픽''': 쇼지 도모히사(롯데·9회 1점)[1]
  • '''센트럴''': 가케후 마사유키(한신·9회 1점, 10회 3점), 야마모토 고지(히로시마·9회 1점)[1]
  • '''MVP''': 가케후 마사유키(한신)[1]


3차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1년 올스타전 3차전 경기 결과
구 분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최종
퍼시픽0000000000
센트럴00110202X6



3차전 선발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1981년 올스타전 3차전 선발 라인업

|-

! 퍼시픽

! 센트럴

|-

|

순서포지션선수
1좌익수쇼지 도모히사
2중견수시마다 마코토
31루수가토 히데지
4우익수가도타 히로미쓰
52루수오치아이 히로미쓰
63루수아리토 미치요
7유격수이시게 히로미치
8포수나시다 마사타카
9투수무라타 조지



|

순서포지션선수
1유격수하라 다쓰노리
2좌익수야자와 겐이치
33루수가케후 마사유키
4중견수야마모토 고지
51루수나카하타 기요시
6우익수J. 라이틀
72루수오카다 아키노부
8포수야마쿠라 가즈히로
9투수에가와 스구루



|}

4. 1. 1차전 (7월 25일)

1차전은 오사카 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5대 3으로 이겼다. 승리 투수는 야나기다 유타카(긴테쓰), 패전 투수는 사이토 아키오(요코하마), 세이브 투수는 에나쓰 유타카(닛폰햄)였다. 짐 라이틀(히로시마)은 4회에 1점 홈런을 기록했다. MVP는 후지와라 미쓰루(난카이)가 차지했다.

4. 2. 2차전 (7월 26일)

2차전은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렸으며, 연장 10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센트럴 리그가 6-3으로 승리했다.[1] 센트럴 리그의 스미 미쓰오(요미우리)가 승리 투수가 되었고, 퍼시픽 리그의 야나기다 유타카(긴테쓰)가 패전 투수가 되었다.[1]

9회말 가케후 마사유키(한신)의 동점 홈런과 10회말 끝내기 3점 홈런, 야마모토 고지(히로시마)의 홈런이 나왔고, 퍼시픽 리그에서는 쇼지 도모히사(롯데)가 9회초에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1]

이 경기에서 가케후 마사유키는 9회말 동점 홈런과 10회말 끝내기 3점 홈런을 기록하며 극적인 승리를 이끌었고, MVP로 선정되었다.[1] 가케후는 공식전과 일본 시리즈를 통틀어 유일한 끝내기 홈런을 이 경기에서 기록했다.[1]

'''2차전 상세 정보'''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합계안타실책
퍼시픽0002000010370
센트럴0000001023X670


  • '''승리 투수''': 스미 미쓰오(요미우리)[1]
  • '''패전 투수''': 야나기다 유타카(긴테쓰)[1]
  • '''홈런'''
  • '''퍼시픽''': 쇼지 도모히사(롯데·9회 1점)[1]
  • '''센트럴''': 가케후 마사유키(한신·9회 1점, 10회 3점), 야마모토 고지(히로시마·9회 1점)[1]
  • '''MVP''': 가케후 마사유키(한신)[1]

4. 3. 3차전 (7월 28일)

3차전에서는 투타에서 센트럴 올스타팀 야마쿠라 가즈히로(요미우리)가 맹활약하여 투수진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 퍼시픽 올스타팀을 완봉승으로 이끌었다. 퍼시픽 올스타팀의 완봉패는 1975년 1차전 이후 6년 만이다.

1981년 올스타전 3차전 경기 결과
구 분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최종
퍼시픽0000000000
센트럴00110202X6


승리 투수: 에가와 스구루(요미우리)
패전 투수: 무라타 조지(롯데)
홈런:


MVP: 야마쿠라 가즈히로(요미우리)

{| class="wikitable"

|+ 1981년 올스타전 3차전 선발 라인업

|-

! 퍼시픽

! 센트럴

|-

|

순서포지션선수
1좌익수쇼지 도모히사
2중견수시마다 마코토
31루수가토 히데지
4우익수가도타 히로미쓰
52루수오치아이 히로미쓰
63루수아리토 미치요
7유격수이시게 히로미치
8포수나시다 마사타카
9투수무라타 조지



|

순서포지션선수
1유격수하라 다쓰노리
2좌익수야자와 겐이치
33루수가케후 마사유키
4중견수야마모토 고지
51루수나카하타 기요시
6우익수J. 라이틀
72루수오카다 아키노부
8포수야마쿠라 가즈히로
9투수에가와 스구루



|}

5. 미디어 중계

(7월 25일)요미우리 TV
(일본 TV 계열)실황: 사토 타다카
해설: 무라야마 미노루, 가네다 마사이치
게스트: 테라오 아키라아사히 방송
(TV 아사히 계열)실황: 우에쿠사 사다오
해설: 고야마 마사아키
게스트 해설: 이케가이 코지로 (히로시마), 오가와 토오루 (긴테츠)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아워에 내포)실황: 하사마 마사오
해설: 가토 스스무2차전
(7월 26일)TBS 텔레비전실황: 이케다 코이치로
해설: 노무라 가쓰야
게스트 해설: 하리모토 이사오 (롯데)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아워에 내포)실황: 하사마 마사오
해설: 다카다 시게루3차전
(7월 28일)후지 텔레비전실황: 이와사 토오루
해설: 아라카와 히로시, 토요다 야스미츠
게스트 해설: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아워에 내포)실황: 하사마 마사오
해설: 히로세 토시미1차전
(7월 25일)NHK 라디오 제1해설: 쓰루오카 가즈토, 다카다 시게루TBS 라디오 (JRN/아사히 방송 제작)해설: 노무라 가쓰야, 미나가와 무쓰오분카 방송 (NRN/라디오 오사카 제작)해설: 쓰지 요시키, 벳쇼 다케히코닛폰 방송 (마이니치 방송 제작)실황: 조노 아키라
해설: 세키네 준조, 스기우라 다다시
게스트 해설: 와카마츠 츠토무라디오 간토
(현·라디오 일본)
(독립계)해설: 아오타 노보루라디오 탄파
(현·라디오 NIKKEI) 제1방송해설: 도이 고로2차전
(7월 26일)NHK 라디오 제1해설: 히로세 요시미, 가와카미 데쓰하루TBS 라디오 (JRN)해설: 모리 마사히코
게스트 해설: 장훈분카 방송 (NRN)해설: 토요다 야스미츠
게스트 해설: 와카마츠 츠토무닛폰 방송
(마이니치 방송에도 넷)실황: 고구치 가즈오
해설: 가네다 마사이치
게스트: 사다 마사시라디오 간토
(현·라디오 일본)
(독립계)해설: 호리모토 리쓰오3차전
(7월 28일)NHK 라디오 제1해설: 다카다 시게루, 가토 스스무TBS 라디오 (JRN)해설: 노무라 가쓰야
게스트 해설: 장훈닛폰 방송 (NRN)실황: 후카자와 히로시
해설: 도바시 마사유키라디오 간토
(현·라디오 일본)
(독립계)해설: 아리모토 요시아키라디오 오사카 (로컬)해설: 쓰지 요시키, 벳쇼 다케히코


참조

[1]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2]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